반응형

칠보공예 기초 이론 제작과정 기법과 활용 

칠보공예 동선 크랙기법 작품

 

칠보공예(七寶工藝)는 금속 표면에 유리질의 유약을 입혀 고온에서 여러 번 소성(燒成)하여 장식하는 전통 공예기법입니다. ‘칠보’란 말 그대로 ‘일곱 가지 보물’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불교에서 유래된 용어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보물은 금, 은, 유리, 수정, 산호, 호박, 진주를 일컫는 것으로, 칠보공예는 이러한 보석처럼 아름답고 귀한 색감과 빛을 표현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제작 과정 및 기법

칠보공예는 주로 구리, 은 등의 금속판 위에 다양한 색상의 유리질 안료(칠보 유약)를 얇게 바르고, 약 700-800도의 고온에서 구워서 완성합니다. 안료는 유리 가루와 금속 산화물을 혼합하여 만들어지며, 이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함으로써 색이 더 선명하고 깊이 있게 표현됩니다.

 

사용되는 대표적인 기법에는 투명칠보, 불투명칠보, 그라데이션칠보, 와이어칠보(선묘칠보)이 있으며, 특히 와이어칠보는 얇은 금속선을 이용해 문양을 만든 후 그 안에 안료를 채우는 방식으로, 섬세하고 정교한 표현이 가능합니다.

칠보공예의 매력

칠보공예의 가장 큰 매력은 바로 화려하면서도 중후한 아름다움입니다. 현대적인 감각과 전통미가 함께 어우러져 장식품, 액세서리, 생활 소품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며, 선물용이나 장식용으로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의 칠보공예는 전통적인 문양과 색채를 살려, 단아하면서도 고급스러운 미를 자랑합니다.

현대의 활용과 교육

최근에는 50+세대를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문화센터, 공예 교육기관 등에서 칠보공예를 배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의 감각을 활용하여 집중력과 정서적 안정에도 도움을 주기 때문에 힐링 공예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또한, 자신만의 독창적인 디자인을 완성할 수 있는 예술적 요소가 강해 자존감을 높이는 데도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맺음말

전통문화의 아름다움과 현대적인 감각을 접목한 칠보공예는 우리 문화의 소중한 유산이자, 일상 속에서 예술을 실현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반응형